메뉴 검색
대형마트, 지난해 말부터 계란가격 상승 주도…담합 조사 확대 목소리 대형마트·체인슈퍼·편의점, 농협하나로마트보다 최대 80원 비싸 홍충선 기자 2025-10-14 12:01:58

최근 계란가격 급등의 배경에 대형마트 등 유통 대기업들이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며, 공정거래위원회의 담합 조사 대상이 산지를 넘어 유통업계까지 확대돼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송옥주 의원이 한국농촌경제연구원(농경연)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소매유통 유형별 계란가격은 대형마트가 309원으로, 농협하나로마트(285원)보다 24원, 개인슈퍼(297원)보다도 12원 더 비쌌다. 체인슈퍼(337원), 편의점(339원)까지 포함하면, 유통 대기업 채널의 가격 인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송옥주 국회의원

소매유통채널 판매자료(POS데이터)에 따르면, 올 1분기 대형마트의 계란 판매량은 전년 대비 6.3% 줄었지만, 매출액은 오히려 3.8% 증가했다. 4월에도 같은 현상이 반복됐다. 대형마트의 계란 판매량은 9.7% 줄었지만, 매출액은 7.1% 늘었다. 이는 판매단가 인상을 통한 매출 확대, 즉 소비자 가격 상승이 수익 증가로 이어졌음을 의미한다.


반면 계란 산지가격은 같은 기간 큰 폭의 상승 없이 오히려 하락세를 보였다. 2024년 1분기 162원이던 산지가격은 4분기에는 165원, 2025년 1분기엔 157원까지 떨어졌다. 2025년 2분기에 들어서야 184원으로 급등했는데, 이는 조류독감에 따른 살처분 증가와 할당관세 미적용으로 인한 계란 가공품 수입 감소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2025년 1~8월 기준 계란 소매 시장 점유율을 보면, 개인슈퍼가 34.9%, 대형마트가 31%로,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이에 비해 가장 저렴한 가격을 보인 농협하나로마트는 점유율이 17%에 불과해 가격 안정 역할이 제한적이었다.


특히, 대형마트는 지난해 말부터 계란가격 상승을 본격적으로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3분기까지만 해도 265원이던 대형마트 계란 가격은 4분기 279원으로 급등했고, 올 1분기에는 281원, 2분기에는 309원까지 치솟았다. 이는 같은 기간 오프라인 평균 가격(280원→305원)보다 높은 수준이다.


흥미로운 점은 지난해 4분기 대형마트의 계란 판매량이 2억8,665만개로 전년보다 5.5% 늘었고, 매출액은 800억 원으로 7.4% 증가했다는 것이다. 당시 판매단가는 279원으로 전년 대비 1.9% 올랐다.


공정위는 현재 산지를 중심으로 계란 가격 담합 여부를 조사 중이다. 그러나 실제 시장에서 가격을 주도한 주체는 유통 대기업이라는 분석이 이어지면서, 조사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대형마트 3사는 공정위가 조사에 착수한 직후 ‘마진을 줄여 계란가격 인상을 억제하겠다’는 보도자료를 배포했지만, 같은 기간 실제 계란 가격은 오히려 오름세를 보였다. 이런 정황은 유통 과정에서의 가격 결정 구조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송옥주 의원은 “산지에만 책임을 돌릴 것이 아니라, 실제 가격을 좌우하는 유통 채널의 역할을 명확히 밝히고 제도 개선에 나서야 한다”며 “공정위의 담합 조사도 유통업체까지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신뉴스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