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나눔의 집' 후원금 88억원 중 시설엔 고작 2억원 사용 경기도, 나눔의집 민관합동 조사 결과 발표...수사 의뢰 및 행정처분 예정 박영신 기자 2020-08-11 13:37:10


송기춘 '경기도 나눔의집 민관합동조사단' 공동단장은 11일 경기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나눔의 집 민관합동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사진=경기도)[경기인뉴스=박영신 기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지원시설인 '나눔의 집'이  5년간 모금한 후원금 88억원 중 수십억원을 부동산 구입에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에 사용한 돈은 고작 2억원에 불과했다. 


송기춘 '경기도 나눔의집 민관합동조사단' 공동단장은 11일 경기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나눔의 집 민관합동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송기춘 단장은 "나눔의 집은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약 88억원 상당의 후원금을 모금했지만 실제 시설에 사용된 돈은 2억에 불과했다"면서 "할머니들에게 정서적 학대를 한 정황도 포착됐다"고 밝혔다. 


경기도는 민관합동조사단으로부터 최종 조사결과를 받아 경찰에 수사를 의뢰하고 관계 법령을 위반한 사항에 대해서는 행정처분을 내릴 예정이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후원금 약 88억원 중 할머니들이 실제 생활하고 있는 나눔의 집 양로시설로 보내진 금액은 약 2억원뿐이었다. 이마저도 대부분이 할머니들을 위한 직접 경비가 아닌 시설 운영을 위한 간접경비로 지출됐다. 


이 과정에서 나눔의 집 법인이나 시설은 기부금품법에 의한 모집 등록을 하지 않아 후원금의 액수와 사용내역 등이 제대로 공개되지 않았으며, 등록청의 업무 검사도 받지 않았다


반면 ‘재산조성비’로 쓰인 후원금은 약 26억원으로 파악됐다. 재산조성비는 토지매입과 생활관 증축공사, 유물전시관 및 추모관 신축, 추모공원 조성 등에 쓰인 돈이다.  


나머지 후원금은 국제평화인권센터, 요양원 건립 등을 위해 비축한 것으로 보인다.


또 간병인이 할머니들에게 "할머니, 갖다 버린다", "혼나봐야 한다. 약았다" 등 폭언을 일삼는 등 할머니들에 대한 정서적 학대 정황도 드러났다.


한편 앞서 지난 3월부터 김대월 학예실장 등 직원 7명은 나눔의 집 운영진이 후원금을 할머니들을 위해 사용하지 않고 현금과 부동산으로 적립해 노인 요양사업에 사용하려 한다며 국민신문고 등에 민원을 제기했다. 또 전 시설장과 사무국장, 이사 승려 4명을 경찰에 고발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최신뉴스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