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코로나19로 부족한 병상 자원을 원활히 운영하기 위해 격리 해제 지침을 검사 기반에서 증상 기반으로 바꿀 것을 정부에 건의했다. (사진=경기도)
[경기인뉴스=박영신 기자] 경기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부족한 병상 자원을 원활히 운영하기 위해 격리 해제 지침을 검사 기반에서 증상 기반으로 바꿀 것을 정부에 건의했다.
임승관(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장) 경기도 코로나19 긴급대책단 공동단장은 17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수도권 확진자가 꾸준히 증가하는 흐름에서 더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15일 0시 기준 경기도에서 격리 해제된 확진자는 모두 737명으로, 병원 또는 경기도 생활치료센터에서 격리 해제까지 재원한 기간은 평균 25.9일, 사망자를 제외하면 26.2일이다.
평균 26일까지 격리 기간이 길어진 것은 중앙방역대책본부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응 지침'에서 격리 해제 요건을 검사 기반으로 정의하고 있기 때문이다. 임상 증상이 회복된 뒤 코로나 검사가 24시간 간격 연속 2차례 음성 결과일 때 격리 해제된다.
경기도 코로나19 전문가자문위원회(공동위원장 김홍빈 분당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교수·정해관 성균관대학교 예방의학 교수)는 지난 12일 정기 자문위원회에서 이 문제를 심도 있게 논의한 결과, 지금처럼 검사 기반 전략뿐 아니라 증상 기반 전략의 격리 해제 기준을 채택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결론냈다.
임승관 단장은 "4주에 가까운 시간 동안 대부분의 환자가 별다른 증상 없이 건강이 회복된 상황에서 병상에 머물고 있으며 의료진 등 보건의료노동자들의 체력 소모도 심각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 2~3월 대구·경북에서는 병상 자원이 부족해 의료 서비스에 접근하지 못한 채 사망했던 안타까운 소식들도 있었다"며 "중앙과 지방 정부는 생활치료센터를 확대 운영하면서 치료 자원의 공급을 늘리고 있지만 그것만으로 충분치 않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사회적 차원에서도 부족한 병상 회전율이 나빠지면서 중환자 진료 병상 등 의료자원 공급의 위기가 초래된다"며 "수도권 확진자가 꾸준히 증가하는 흐름에서 보다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라고 강조했다.
미국 질병통제센터(CDC)도 실험에 근거해 발열과 호흡기 증상 호전 뒤 3일이 지나고 첫 증상 시작일로 10일이 지난 경우 증상 기반 격리 해제 기준을 만족했다고 평가한다. 세계보건기구와 유럽, 싱가포르 등 아시아국가도 마찬가지라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