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청 대변인이 지역 언론사 대표에게 욕설과 협박성 발언을 한 데 이어 시청 출입까지 제한한 사건이 발생해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화성시와 시의회는 2주 넘게 어떠한 공식 입장도 내놓지 않고 있어 ‘언론 탄압’ 논란은 더욱 커지고 있다.
문제의 시작은 화성시청 대변인 A씨의 발언이었다. A씨는 (사)전국지역신문협회 경기도협의회 소속 지역 언론인에게 입에 담기 어려운 욕설을 퍼붓고, 취재 활동을 이유로 시청 출입까지 제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행동은 단순한 감정적 대응을 넘어, 시정 운영의 투명성과 언론의 자유를 침해한 중대한 사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특히 A씨는 정식 공무원이 아닌 계약직 신분으로, 직위를 넘어서는 행위를 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사건 직후인 9월 1일, 협의회는 정명근 화성시장과의 간담회를 공식 요청했다. 그러나 화성시는 2주 넘게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았고, 담당 언론관은 “시장이 답변을 주지 않는다”는 말만 되풀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에는 연락조차 두절되었다는 게 협의회 측 설명이다.
결국 협의회는 지난 9월 10일, 박경국 경기도협의회장(용인뉴스)을 비롯한 회원사 대표들과 함께 화성시장실을 항의 방문했다. 하지만 정명근 시장과 조승문 제2부시장은 외부 일정으로 부재 중이었고, 시장실 비서실장만이 응대에 나섰다.
협의회 측은 공식 입장 표명을 요구했으나, 비서실장은 “공문으로 제출하면 공문으로 답하겠다”는 원론적 입장만 밝힌 채 자리를 떠났다. 협의회는 이를 두고 “시민의 알 권리를 철저히 외면한 무책임한 대응”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협의회는 이어 화성시의회에 면담을 요청했지만, 배정수 의장을 포함한 시의원 대다수가 자리를 비운 상태였다. 이에 협의회는 시의회 대회의실에서 긴급 간담회를 열고, “언론을 무시하는 행정은 시민을 외면하는 행정”이라며 강경 대응을 예고했다.
협의회는 전국지역신문협회 중앙회의 재가를 받아 법적·제도적 대응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히며, “화성시의 언론관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고 강조했다.
지역 언론계와 시민사회는 “사건의 본질은 단순한 충돌이 아니라 언론 자유에 대한 중대한 침해”라며, △정명근 시장의 공식 사과 △책임자 문책 △재발 방지 대책 수립을 강력히 촉구하고 있다.
한편, (사)전국지역신문협회는 전국에 350여 개의 회원사를 둔 언론단체로, 경기도협의회에는 22개 지역 언론사가 소속돼 있다. 협의회는 이 사건을 심각한 언론 탄압 사례로 보고, 전국 단위 공동 대응에 나설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대변인의 자질 논란을 넘어, 시정 운영 전반의 투명성과 언론관에 대한 시민사회의 경고다. 화성시와 시의회가 책임 있는 자세로 사과와 재발 방지 대책을 조속히 내놓지 않는다면, 사태는 전국적 파장으로 확산될 수밖에 없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