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미래 우리경제를 이끌어 갈 성장추동력을 갖춘 혁신기업을 발굴하고 이들에 대한 대출·보증·투자 등 적극적 금융지원에 나선다.
정부는 30일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주재한 12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종합 금융지원방안’을 의결했다.
혁신기업 선정은 관계부처와 전문단체가 맡는다. 기업선별 경험이 있는 주요 벤처캐피탈(VC) 등을 통해서도 신산업 부문의 혁신기업을 선정한다.
정부는 30일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주재한 12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종합 금융지원방안’을 의결했다.(자료=기재부)분야별로는 디지털·그린 뉴딜 분야와 미래차·바이오·시스템반도체 등 신산업 분야, 소재·부품ㆍ장비 분야가 포함될 예정이다. 정부는 신산업으로 개편하는 혁신기업과 해외 노하우 등을 갖고 국내로 돌아오는 혁신기업도 적극 선정하겠다는 게획이다.
산업부와 중소기업벤처부는 현재 32개 혁신기업을 선정한 상태다. 올해 안에 200개 기업 선정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어 2022년까지 매 반기마다 200개 기업을 순차적으로 선정하는 로드맵이다.
정부는 혁신기업에 대해 3년간 대출 15조원·보증 10조원·투자 15조원 등 모두 40조원 규모의 금융지원을 시행할 계획다. 재무상태가 다소 좋지 않아도 최대한 대출과 보증 등을 지원하겠다는 방침이다.
산업은행의 시설자금 및 운영자금 대출은 기존 2000억원과 500억원의 한도 제한없이 지원될 수 있다. 수출입은행 대출지원은 수출실적 100%까지 가능하다.
기존에는 수출실적 50~90%까지만 허용된다.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은 각각 최대 0.7%포인트와 1.0%포인트의 금리감면 혜택을 준다.
신용보증기금 보증한도는 30억원에서 150억원으로 확대된다. 성장금융 등 정책펀드 등을 활용해 혁신기업에 대해 투자를 지원한다.
정책자금을 마중물로 민간 자금도 적극 유치할 방침이다. 정부는 혁신성이 우수하고 대규모 자금유치가 필요한 기업을 연간 30개 이상 뽑아 국내외 VC 협력채널과 투자설명회 등을 통해 민간 투자자금을 유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