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재난기본소득 지급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경기도)[경기인뉴스=박영신 기자] 경기도가 지난 24일 도민 1326만명에게 지역 화폐로 재난기본소득 10만원씩 지급하겠다고 밝힌 이래 각 시군들이 줄줄이 재난기본소득 추가지원계획을 발표하고 나섰다.

 

우선 화성시는 20만원의 재난기본소득을 추가 지급키로 했다. 27일 현재까지 화성시 재난기본소득은 경기도 시군 중 최고액수로 화성시 시민들은 경기도와 화성시 재난기본소득을 합쳐 1인당 총 30만원(4인가구 기준 120만원)의 재난기본소득을 받게 된다.


과천시·여주시·이천시·양평군 등 4개 지자체가 각각 10만원씩, 광명시·김포시·군포시·안양시·의왕시 등 5개 지자체가 5만원씩 재난기본소득을 추가지급할 계획이다. 


이같은 양상으로 재난기본소득이 지급된다면 A지역에 사는 도민은 30만원을 받는 데 비해 B지역에 사는 도민은 A지역의 절반인 15만원의 재난기본소득을 받게 되며 시군 추가지원이 없는 지역에 사는 도민은 도 재난기본소득인 10만원만 받게 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금액도 들쑥날쑥할 뿐 아니라 아예 추가지원이 없는 지역도 있는 등 그야말로 재난기본소득의 춘추전국시대 같은 느낌이다.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재난기본소득을 모든 도민에게 지급키로 한 데는 신분·소득 등의 높고 낮음을 떠나서 모든 국민에게 정부 정책이 닿도록 하자는 생각이 컸을 것이다.


그런데 각 시군별로 재난기본소득 차별이 발생한다면 이것은 이 지사의 뜻에 어긋나는 모양새로 재난기본소득 정책이 흘러가는 게 아닐까 생각한다.


도는 시군들과 협의해 일정한 금액을 시군에서 추가지원토록 하고 재정자립도가 낮아서 재난기본소득 추가지원을 할 수 없는 시군에는 도가 추가지원금액을 책임지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gginews.kr/news/view.php?idx=62502
  • 기사등록 2020-03-29 01:24:45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경기도, 납북자가족모임의 대북전단 기습 살포 ‘특사경 수사’ 착수 경기도가 27일 새벽 납북자가족모임이 파주시 임진각에서 대북전단을 기습 살포한 데 대해 즉각 수사에 착수한다고 밝혔다.28일 경기도에 따르면 납북자가족모임은 27일 0시 20분경 파주 임진각에서 대북전단 8개를 부양했다. 풍선 8개는 모두 휴전선을 넘지 못하고 연천, 동두천, 파주 적성 부근에 낙하한 것으로 추정된다. 연천군 청산면 초..
  2. 경기도기술학교 교육생, 화성시 장애인 차량 무상점검 봉사 【오산인터넷뉴스】경기도일자리재단의 경기도기술학교는 지난 27일 화성종합경기타운 주차장에서 자동차 정비 교육지원사업에 참여중인 교육생들과 함께 ‘2025 장애인 및 봉사자 차량 무상점검 서비스’ 자원봉사활동을 했다. ‘차량 무상점검 서비스’ 행사는 지역 내 장애인과 국가유공자, 사회복지시설 차량 등을 대상으.
  3. 경기도, ‘2025년 4.5일제 시범사업’ 참여기업 83개 사 선정 경기도와 경기도일자리재단이 ‘2025년 경기도 4.5일제 시범사업’에 참여할 기업 83개 사를 최종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당초 목표했던 50개 사를 크게 웃도는 수치로, 도내 기업들의 높은 관심과 참여 의지를 보여주는 결과다. 특히 근무시간이 상대적으로 유연한 IT 기업 위주로 참여할 것이라는 일부 우려와 달리, 제조업체의 신청이 ...
  4. 경기이음온학교,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 본격 추진 경기도교육청이 17일부터 도내 모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경기이음온학교’ 온라인 교육과정 수요조사를 시작했다.온라인 실시간 쌍방향 수업으로 시공간의 한계를 넘어 고등학생의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경기이음온학교’는 경기온라인학교 정책의 일환이다.‘경기이음온학교’는 도내 고등학생들의 수요..
  5. 경기도의회, 2025년 상반기 정책지원관 자체 직무교육 추진 경기도의회 의정지원담당관은 정책지원관의 실무역량 강화를 위해 오는 4월 30일부터 5월 말까지 매주 1회 자체 직무교육을 실시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교육은 정책지원관이 보다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의정활동을 지원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비회기 중 도의회 지하1층 대회의실에서 과목별 2시간씩 진행된다. 교육 과정은 정책지원..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