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2016년 식품산업 생산실적 규모 73조3천여억원 - 2015년 대비 기준 4.1%, 연 평균 2.8% 성장
  • 기사등록 2017-09-25 09:36:00
기사수정
    국내산업 대비 가공식품 등, 축산물, 건강기능식품 제조업 생산비중
[시사인경제]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16년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은 약 73조3천억원으로 2015년 대비 4.1%, 2012년 이후 연 평균 2.8%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2016년 식품산업 생산실적은 국내 제조업 총생산(GDP) 대비 16.9%, 국내 총생산(GDP) 대비 4.5%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자료는 통합식품안전정보망의 인·허가, 품목제조보고 정보를 연계해 식품제조업, 축산물가공업, 건강기능식품제조업 등 식품산업 전체의 생산 현황을 통합·분석한 것으로 식품산업 전반에 대한 분석·연구와 정부정책 수립 등에 활용도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2016년 식품산업 생산실적 분석 주요 내용은 ▲업종별 생산실적, 식품제조·가공업이 55.3% ▲식품유형별 생산실적, 돼지고기 포장육이 1위 ▲건강기능식품 중 생산실적 성장률 최고, 홍삼제품 ▲생산실적 1조원 이상 식품제조업체 5개사 ▲10인 이하 식품산업 제조업체수 79% 차지 등이다.

2016년 업종별 생산실적은 식품제조·가공업이 40조5,549억원(55.3%)으로 가장 많았고, 식육포장처리업(12조8,733억원, 17.6%), 유가공업(6조241억원, 8.2%), 용기·포장지제조업(5조9,806억원, 8.2%, 옹기류포함), 식육가공업(4조7,905억원, 6.5%), 건강기능식품제조업(1조4,715억원, 2.0%), 식품첨가물제조업(1조2,982억원, 1.8%) 순이었다.

2015년과 비교해 식품제조·가공업, 건강기능식품제조업, 식육가공업, 식육포장처리업은 각각 3.4%, 29.9%, 12.1%, 6.9% 증가한 반면, 유가공업과 알가공업은 각각 1.7%, 4.3% 감소했다.

건강기능식품제조업 생산실적 증가는 2015년 백수오 제품에 이엽우피소가 혼입된 사건의 영향으로 증가세가 둔화됐던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2016년에는 점차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지난해 조류인플루엔자(AI) 및 구제역 등에 따른 여파로 원료 가격이 상승한데다 계란 품귀현상으로 인해 유가공업과 알가공업은 ‘15년 대비 성장률 감소를 나타냈다.

2016년 생산실적이 1조원 이상인 식품유형은 돼지고기 포장육, 쇠고기 포장육, 양념육, 우유 등 모두 14종으로 조사됐다.

식품유형별 생산실적은 ‘15년과 동일하게 돼지고기 포장육(5조9,693억원)이 1위를 차지했고 쇠고기 포장육(4조6,337억원), 닭고기 포장육(1조9,148억원), 양념육(1조5,211억원), 우유(1조4,130억원) 순이었다.

그 뒤를 이어 기타가공품(1조3,607억원), 소스류(조미식품, 1조3,558억원), 탄산음료(1조2,778억원), 유탕면류(봉지라면, 1조2,034억원), 소주(1조1,787억원)가 10위 안에 들었다.

특히 1인 가구, 맞벌이 가족 증가 등으로 간편식 관련 품목의 생산이 전년대비 증가하고, 저출산의 영향으로 분유·조제유류 등 유가공품의 생산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건강기능식품의 생산실적은 1조4,715억원으로 ’15년(1조1,332억원)에 비해 29.9%로 대폭 증가했으며 2012년 이후 연평균 8.7% 성장하고 있다.

품목별로는 홍삼, 개별인정형, 비타민 및 무기질, 프로바이오틱스, 밀크씨슬 추출물 순으로 많이 생산됐으며, 이 중 홍삼제품이 전체의 39.7%를 점유하고 있어 부동의 1위를 차지하는 등 우리 국민들은 건강기능식품으로 홍삼제품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 등 생산실적은 총 47조8,336억원으로 ’15년(46조5,038억원)에 비해 2.9% 증가했으며, ‘12년 이후 연평균 2.4%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식품군별로는 기타 식품류(5조6,244억원), 규격외 일반가공식품(4조3,880억원), 음료류(3조6,276억원), 주류(3조2,935억원), 빵 또는 떡류(3조1,321억원), 조미식품(3조326억원) 순이었다.

그 뒤를 이어 과자류(2조9,578억원), 면류(2조5,101억원), 커피(1조6,498억원), 식용유지류(1조6,180억원), 코코아가공품 또는 초콜릿류(1조907억원), 김치류(1조334억원) 등이 1조원 이상 생산된 식품군으로 확인됐다.

2015년에 비해 소스·복합조미식품, 탄산음료, 과채음료·쥬스 및 커피 생산이 증가했는데, 이는 조리문화의 다변화, 피자·치킨·족발 등 배달식품의 증가, 과일쥬스·커피 인기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2016년 축산물가공품 생산실적은 24조79억원으로 ’15년(22조7,748억원) 대비 5.4% 증가해, 최근 5개년 연평균은 3.4% 성장하고 있다.

돼지고기·소고기·닭고기 포장육 생산이 전년대비 각각 12.3%, 4.7%, 2.7%씩 증가했으며, 간편하게 조리해 먹을 수 있는 양념육류도 11.2% 증가했다.

이는 식생활의 서구화, 외식·캠핑문화 등의 정착으로 국민들의 육류소비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생산실적이 1조원 이상인 업체는 식품제조·가공업체 4곳과 축산물가공업체(유가공업체) 1곳을 포함한 총 5곳으로 이들이 ’16년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 73조3천여억원 중 9.8%를 차지했다.

2016년 제조업체별 생산실적은 ’15년 2위였던 롯데칠성음료㈜(1조8,352억원)와 1위였던 ㈜농심(1조5,665억원)이 자리를 바꿨고, CJ제일제당㈜(1조5,529억원), 하이트진로㈜(1조1,265억원), 서울우유협동조합(1조1,180억원, 축산물가공업) 순이었으며, ‘15년 7개사보다 2개사(오리온, 롯데제과)가 감소했다.

식품첨가물 제조업체 생산실적은 ‘15년에 이어 한화케미칼㈜이 1,724억원으로 1위를 차지했고, 대상㈜(1,230억원), 백광산업㈜(586억원), ㈜엠에스씨(481억원), ㈜엘지화학브이시엠(421억원)의 순이었다.

이들 상위 5개 업체의 비중은 식품첨가물 시장의 34.2%를 차지했으며, 상위 5개사 점유율은 매년 감소하고 있다.

건강기능식품제조업체는 ㈜한국인삼공사(3,770억원)가 ’04년부터 ’16년까지 계속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콜마비앤에이치㈜(1,027억원), ㈜노바렉스(722억원), ㈜서흥(608억원), ㈜한국야쿠르트(592억원) 등으로 상위 10개 업체의 비중이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의 60.6%를 차지해 집중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2016년 식품산업 생산실적 보고 업체수는 38,698개소로 ’15년(37,793개소) 대비 2.3%, 종업원 수는 437,370명으로 ’15년(421,244명) 대비 3.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인 이하 업체(법인 기준)가 전체 업체수의 약 80%를 차지했지만, 생산액 규모는 ’15년(11.3%)에 비해 감소한 10.5%에 그쳐 여전히 영세한 식품제조업체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17개 시·도별 생산실적은 경기도가 21조3,639억원으로 국내 생산실적의 29.1%를 차지해 가장 높았으며, 충청북도(8조9,521억원, 12.2%) 및 충청남도(6조9,335억원, 9.4%) 포함 상위 3개 지역이 전체 생산의 50.8%를 차지했다.

그 뒤를 이어 경상남도(5조5,139억원), 전라북도(4조9,177억원), 인천광역시(4조4,269억원) 순으로 조사됐다.

상위 3개 지역은 전체 식품업체수의 36.3%가 집중되고, 수도권과 인접하는 등 물류·교통이 발달돼 대규모 업체들이 몰려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식약처는 식품·식품첨가물, 축산물 및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 자료를 국민과 관련 산업체, 연구기관, 관련 부처 등에 제공함으로써 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며,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www.mfds.go.kr → 통계 → 통계간행물 → 식품 및 식품첨가물 생산실적 또는 통계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gginews.kr/news/view.php?idx=27387
  • 기사등록 2017-09-25 09:36:00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경기도, 납북자가족모임의 대북전단 기습 살포 ‘특사경 수사’ 착수 경기도가 27일 새벽 납북자가족모임이 파주시 임진각에서 대북전단을 기습 살포한 데 대해 즉각 수사에 착수한다고 밝혔다.28일 경기도에 따르면 납북자가족모임은 27일 0시 20분경 파주 임진각에서 대북전단 8개를 부양했다. 풍선 8개는 모두 휴전선을 넘지 못하고 연천, 동두천, 파주 적성 부근에 낙하한 것으로 추정된다. 연천군 청산면 초..
  2. 경기도기술학교 교육생, 화성시 장애인 차량 무상점검 봉사 【오산인터넷뉴스】경기도일자리재단의 경기도기술학교는 지난 27일 화성종합경기타운 주차장에서 자동차 정비 교육지원사업에 참여중인 교육생들과 함께 ‘2025 장애인 및 봉사자 차량 무상점검 서비스’ 자원봉사활동을 했다. ‘차량 무상점검 서비스’ 행사는 지역 내 장애인과 국가유공자, 사회복지시설 차량 등을 대상으.
  3. 경기도, ‘2025년 4.5일제 시범사업’ 참여기업 83개 사 선정 경기도와 경기도일자리재단이 ‘2025년 경기도 4.5일제 시범사업’에 참여할 기업 83개 사를 최종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당초 목표했던 50개 사를 크게 웃도는 수치로, 도내 기업들의 높은 관심과 참여 의지를 보여주는 결과다. 특히 근무시간이 상대적으로 유연한 IT 기업 위주로 참여할 것이라는 일부 우려와 달리, 제조업체의 신청이 ...
  4. 경기이음온학교,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 본격 추진 경기도교육청이 17일부터 도내 모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경기이음온학교’ 온라인 교육과정 수요조사를 시작했다.온라인 실시간 쌍방향 수업으로 시공간의 한계를 넘어 고등학생의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경기이음온학교’는 경기온라인학교 정책의 일환이다.‘경기이음온학교’는 도내 고등학생들의 수요..
  5. 경기도의회, 2025년 상반기 정책지원관 자체 직무교육 추진 경기도의회 의정지원담당관은 정책지원관의 실무역량 강화를 위해 오는 4월 30일부터 5월 말까지 매주 1회 자체 직무교육을 실시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교육은 정책지원관이 보다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의정활동을 지원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비회기 중 도의회 지하1층 대회의실에서 과목별 2시간씩 진행된다. 교육 과정은 정책지원..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