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대학생 예술가들, 서울 곳곳을 예술플랫폼으로 - 서울시 공공미술 프로젝트 ‘서울은 미술관’
  • 기사등록 2017-04-21 11:28:00
기사수정
    POP UP(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시사인경제] 2017년, 서울시는 7개 대학과 함께 100여명의 학생들이 직접 참여하는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1명의 지도교수를 중심으로 수업단위 또는 프로젝트를 위해 꾸려진 팀(5∼25명)이 참여하여 대학 주변 지역의 모습을 변화시킨다.

삶의 터전과 교육환경으로 나뉘어 교류하지 못했던 주민과 학생들이 예술로 함께 소통하고, 학생들이 직접 지역 곳곳에 소외된 공간이나 지역의 문제를 찾아 공공미술을 통해 지역 환경을 바꾼다.

또한, 전통적인 미술·디자인대학의 정규 수업에서는 경험할 수 없는 생생한 공공미술 사업의 과정을 직접 체험하고, 갤러리가 아닌 도시 속 공공미술 영역의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청년 예술가들이 직접 지역 선정부터, 문제점 발견과 해결, 작품과 주변의 관계 맺기 방식 제안 및 실행까지의 과정을 진행하여 ‘작품’이라는 결과물 보다는 ‘과정’에 대한 의미부여 함으로써 공공미술에 대한 인식을 전환한다.

한편, 이번 공공미술 프로젝트 제안공모에는 서울시 소재 15개 대학 17개 학과가 참여하여 뜨거운 관심을 보여줬고, 엄정한 심사를 통해 참신한 7개의 제안이 선정되었다.

2개월간 진행된 공모를 통해 커뮤니티 아트, 팝업 전시, 벽화, 스마트 미디어를 활용한 인터렉션, 1인 방송, 서비스디자인, 환경디자인 등 다양한 영역이 융합된 창의적인 공공미술의 방식이 제안되었다.

심사위원들은 노령화, 빈집, 사회적 범죄, 지역의 인식, 도시재생 등 다양한 사회문제에 대한 예술가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어 사업 결과가 기대된다고 전했다.

당선된 7개 프로젝트는 ▲국민대(정릉 비엔날레) ▲서울과학기술대(POP UP)▲서울대(프로젝트 52-2동 101호) ▲성신여대(우렁:하다) ▲숙명여대(Love U Connections) ▲추계예술대(북아현 공공이사 프로젝트) ▲한국예술종합학교(안방TV)이다.

서울시는 최종 확정된 기획안에 대하여 각 1000만원의 실행예산을 지원하고, 각 대학 팀들은 오는 11월까지 대학 주변지역에 현장형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또한, 공공미술 전문가와 함께하는 2번의 공동워크숍, 2회의 현장점검 및 중간발표회 등을 통하여 제안된 프로젝트를 구체화해 나갈 예정이다.

전문가의 멘토링과 지역민과의 협업, 대학생들의 아이디어를 연결하여 공공미술이 다양한 주체간 소통의 도구가 될 것을 기대한다.

첫 공동 워크숍은 오는 28일 시민청 8층에서 진행될 예정이며, 담당교수 및 학생 120명이 참석하여 각 사업의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전문가의 자문을 받는다.

오는 9월에 열리는 '서울은 미술관'국제 콘퍼런스를 통해 전체 프로젝트의 과정을 시민들에게 공개할 예정이며, 11월에는 7개의 사업을 모두 완료할 예정이다.

서울시 디자인정책과 변서영 과장은 “미술대학들과 함께 내일의 아티스트들을 공공미술분야에 참여하는 계기를 만들게 되어 기쁘다”며, “본 사업을 정기화하여 매년 대학생 예술가들과 함께 서울 곳곳에서 열리는 공공미술 축제로 자리매김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문의는 서울시 디자인정책과(담당 : 박재은 ☎ 2133-2713, zen0728@seoul.go.kr)로 하면 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gginews.kr/news/view.php?idx=20422
  • 기사등록 2017-04-21 11:28:00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경기도, ‘2025년 4.5일제 시범사업’ 참여기업 83개 사 선정 경기도와 경기도일자리재단이 ‘2025년 경기도 4.5일제 시범사업’에 참여할 기업 83개 사를 최종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당초 목표했던 50개 사를 크게 웃도는 수치로, 도내 기업들의 높은 관심과 참여 의지를 보여주는 결과다. 특히 근무시간이 상대적으로 유연한 IT 기업 위주로 참여할 것이라는 일부 우려와 달리, 제조업체의 신청이 ...
  2. 경기이음온학교,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 본격 추진 경기도교육청이 17일부터 도내 모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경기이음온학교’ 온라인 교육과정 수요조사를 시작했다.온라인 실시간 쌍방향 수업으로 시공간의 한계를 넘어 고등학생의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경기이음온학교’는 경기온라인학교 정책의 일환이다.‘경기이음온학교’는 도내 고등학생들의 수요..
  3. 경기도의회, 2025년 상반기 정책지원관 자체 직무교육 추진 경기도의회 의정지원담당관은 정책지원관의 실무역량 강화를 위해 오는 4월 30일부터 5월 말까지 매주 1회 자체 직무교육을 실시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교육은 정책지원관이 보다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의정활동을 지원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비회기 중 도의회 지하1층 대회의실에서 과목별 2시간씩 진행된다. 교육 과정은 정책지원..
  4. 경기도, 유기동물 입양자 ‘반려동물 보험가입’ 무료 지원 경기도가 유기동물 입양자를 대상으로 반려동물 보험(펫보험) 가입을 지원하는 ‘경기도 입양동물 안심보험 무한돌봄 지원사업’ 신규 가입자 모집을 시작했다.경기도 입양동물 안심보험 무한돌봄 지원사업은 DB손해보험과 함께 진행하며, 마리당 약 20만원 상당의 안심보험 가입을 무료로 지원한다. 올해는 총 1천여 마리의 입양 유..
  5. 은행, 정책자금 길목 틀어쥐고 소상공인 목 조른다 소상공인 김 모 씨는 직원 월급일이 다가올수록 속이 탄다. 정책자금을 신청한 지 벌써 한 달 가까이 지났지만, 통장엔 여전히 입금이 없다. 경기신용보증재단에서 보증서를 받은 건 2주 전이다. 문제는 그 다음 단계인 은행이다. 담당자는 “심사 중이니 순서대로 기다려달라”고만 한다.정책자금 지원 확인서를 받는 데도 2주 이상이 ...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