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2015년 기준 국내 공연시장 규모 7,815억 원 - 문체부, 2016 공연예술실태조사 결과 발표
  • 기사등록 2017-03-16 11:37:00
기사수정
    문화체육관광부

[시사인경제]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재)예술경영지원센터와 함께 국내 공연시설 및 단체의 운영 현황과 실적을 조사한 ‘2016 공연예술 실태조사(2015년 기준)’ 결과를 발표했다.

국내 공연시장 규모는 공연시설과 단체의 연간 매출액을 합한 금액으로서 2015년 기준 7,815억 원으로 추정된다. 이는 2014년 기준 7,593억 원에 비해 2.9% 증가한 수치로서, 이를 통해 국내 공연시장 규모의 성장률이 같은 기간의 경제성장률 2.6%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이번 증가는 중동호흡기증후군으로 인해 공연계가 어려움을 겪었으나 추경예산 등의 공연 활성화 정책을 추진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공연시설의 매출액은 3,874억 원(전년 대비 5% 증가), ▲공연단체 매출액은 3,940억 원(전년 대비 0.9% 증가)으로 조사되었다.

총매출액 7,815억 원 중 ▲티켓 판매 수입은 3,633억 원(46%), ▲공연 외 사업 수입(전시 및 교육사업 등)은 1,182억 원(15%), ▲공연 단체의 작품 판매 수입 및 공연 출연료는 1,116억 원(14%), ▲공연장 대관 수입은 1,081억 원(14%), ▲기타 공연사업 수입(공연 관련 머천다이징 등 판매)은 391억 원(5%) 등으로 조사되었다. 가장 큰 수입원인 티켓 판매 수입과 공연 외 사업 수입의 전년 대비 증가폭은 각각 25.5%, 33.7%로 나타났다.

장르별 티켓 판매액 규모를 살펴보면 ▲뮤지컬 1,975억 원(54.4%), ▲연극 729억 원(20.1%), ▲양악 321억 원(8.8%), ▲복합 99억 원(2.7%), ▲국악 90억 원(2.5%), ▲무용 70억 원(1.9%), ▲오페라 63억 원(1.7%) 등의 순이다.

전국 공연장의 2015년 한 해 실적은 ▲공연 건수 35,452건(25.3% 감소), ▲공연 일수 136,568일(12.5% 감소), ▲공연 횟수 191,070회(4.6% 감소), ▲관객 수 38,359,163명(1.8% 증가)으로 나타났다.

공연단체의 경우에는 ▲공연 건수 37,935건(16.3% 감소), ▲공연 일수 83,415일(13.5% 감소), ▲공연 횟수 103,003회(14.1% 감소), ▲관객 수 30,468,719명(17.4% 감소)으로 나타나 실적 전반에서 감소 추세를 보였다.

그런데 ‘대학로’에서는 공연 건수를 제외한 모든 실적에서 증가 추세를 보였다. 이는 장기공연(오픈런)의 공연 일수와 횟수가 각각 1.2%, 37.9% 늘어나면서 총 관객 수 증가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국가승인통계 11315호 ‘2016 공연예술실태조사(2015년 기준)’는 2016년 7월부터 12월까지 공연시설(1,026개), 공연단체(2,293개)를 대상으로 대인면접조사와 문헌조사를 통해 진행되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공연시설 ±3.2%포인트, 공연단체 ±2.4%포인트이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gginews.kr/news/view.php?idx=17234
  • 기사등록 2017-03-16 11:37:00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경기도, ‘2025년 4.5일제 시범사업’ 참여기업 83개 사 선정 경기도와 경기도일자리재단이 ‘2025년 경기도 4.5일제 시범사업’에 참여할 기업 83개 사를 최종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당초 목표했던 50개 사를 크게 웃도는 수치로, 도내 기업들의 높은 관심과 참여 의지를 보여주는 결과다. 특히 근무시간이 상대적으로 유연한 IT 기업 위주로 참여할 것이라는 일부 우려와 달리, 제조업체의 신청이 ...
  2. 경기이음온학교,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 본격 추진 경기도교육청이 17일부터 도내 모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경기이음온학교’ 온라인 교육과정 수요조사를 시작했다.온라인 실시간 쌍방향 수업으로 시공간의 한계를 넘어 고등학생의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경기이음온학교’는 경기온라인학교 정책의 일환이다.‘경기이음온학교’는 도내 고등학생들의 수요..
  3. 경기도의회, 2025년 상반기 정책지원관 자체 직무교육 추진 경기도의회 의정지원담당관은 정책지원관의 실무역량 강화를 위해 오는 4월 30일부터 5월 말까지 매주 1회 자체 직무교육을 실시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교육은 정책지원관이 보다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의정활동을 지원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비회기 중 도의회 지하1층 대회의실에서 과목별 2시간씩 진행된다. 교육 과정은 정책지원..
  4. 경기도, 유기동물 입양자 ‘반려동물 보험가입’ 무료 지원 경기도가 유기동물 입양자를 대상으로 반려동물 보험(펫보험) 가입을 지원하는 ‘경기도 입양동물 안심보험 무한돌봄 지원사업’ 신규 가입자 모집을 시작했다.경기도 입양동물 안심보험 무한돌봄 지원사업은 DB손해보험과 함께 진행하며, 마리당 약 20만원 상당의 안심보험 가입을 무료로 지원한다. 올해는 총 1천여 마리의 입양 유..
  5. 은행, 정책자금 길목 틀어쥐고 소상공인 목 조른다 소상공인 김 모 씨는 직원 월급일이 다가올수록 속이 탄다. 정책자금을 신청한 지 벌써 한 달 가까이 지났지만, 통장엔 여전히 입금이 없다. 경기신용보증재단에서 보증서를 받은 건 2주 전이다. 문제는 그 다음 단계인 은행이다. 담당자는 “심사 중이니 순서대로 기다려달라”고만 한다.정책자금 지원 확인서를 받는 데도 2주 이상이 ...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